티스토리 뷰
목차
경력기술서가 서류 합격을 좌우하는 핵심 문서라는 건 이제 많은 분들이 아실 거예요.
하지만 막상 작성하려고 하면 “어떤 포맷이 제일 잘 먹히는지”부터 막히죠.
특히 사람인, 잡코리아 같은 채용 플랫폼에서 이력서를 제출할 때
경력기술서 포맷 선택에 따라 평가 인상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어요.
오늘은 실제 기업들이 선호하는
경력기술서 포맷 TOP3를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1. 표 형식 포맷 (실무형 / 빠른 검토 선호)
표 형식 경력기술서는 HR담당자들이 가장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구조라
대기업·중견기업에서 특히 선호되는 방식이에요.
이런 분께 추천:
- 경력이 2년 이상이며 이직 경험이 있음
- 직무가 반복적 구조(예: 사무, 회계, 생산, 고객상담)
- 실무 내용이 연도별 정리되기 쉬운 직무
기본 구성 예시:
기간 | 회사명 | 직위 | 주요 업무 | 성과 |
---|---|---|---|---|
2022.01~2023.12 | (주)ABC | 주임 | 고객 불만 응대, 상담원 교육 | 민원률 35% 감소 |
2. 프로젝트 중심 포맷 (기획/IT/디자인)
프로젝트 단위로 업무를 정리한 포맷은
IT, 디자인, 마케팅 등 산출물 중심 직무에서 가장 선호됩니다.
이런 분께 추천:
- 개발자, 디자이너, 영상PD 등
- 프리랜서 이력 보유자
- 경력이 단절됐지만 프로젝트는 꾸준했던 경우
예시 구성:
- 프로젝트명: 웹사이트 리뉴얼 기획
- 기간: 2022.03 ~ 2022.08
- 역할: UX/UI 설계, 기획서 작성
- 결과: 페이지 이탈률 47% → 22% 감소
3. 성과 중심 포맷 (임팩트 직무에 효과적)
성과 중심 포맷은 스타트업, 영업, 마케팅 등
결과 중심 문화의 기업에서 선호돼요.
이런 분께 추천:
- 영업/마케팅 직군
- KPI 지표 관리 경험자
- 스타트업 or IT 기업 지원 예정자
예시 구성:
- 성과 제목: CRM 도입으로 고객 유지율 28% 개선
- 배경: 기존 고객 이탈률 41%
- 기여 내용: CRM 도입 제안 및 사내 교육
- 결과: 유지 고객 28% 증가, CS시간 15% 단축
포맷별 선택 팁 요약
직무 | 추천 포맷 |
---|---|
실무 반복형 | 표 형식 |
프로젝트 기반 | 프로젝트 중심 |
KPI 중심 | 성과 중심 |
▶ 직무 성격에 따라 두 가지 포맷을 혼합해도 좋습니다.
관련 링크 모음 (클릭 가능)
마무리하며
경력기술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닌
내가 이 직무에 적합한 사람이라는 걸 증명하는 설득 도구입니다.
직무에 맞는 포맷을 고르고, 수치와 성과 중심으로 작성하세요.
그것만으로도 서류 통과 확률은 분명 달라집니다.